"PFAS 수질기준, 세계는 강화하는데 한국은 2028년 도입 예정…국민만 노출된 채 방치"

  • 기자명 최광웅 기자
  • 입력 2025.11.18 16:12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발암물질 PFAS, 미국·유럽은 이미 규제 강화…한국은 감시만 하는 ‘늑장행정’

[데일리스포츠한국 최광웅 기자]

국민의 혈액과 수돗물에서까지 검출되는 유해 화학물질 과불화화합물(PFAS)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한국의 수질 규제는 여전히 국제 기준보다 크게 뒤처져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PFAS는 프라이팬 코팅, 방수 의류, 화장품, 포장재, 심지어 반도체 공정까지 현대 생활의 거의 모든 분야에 사용되는 영원한 화학물질이다. 문제는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 오래 남으며, 일부는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 1군 발암물질로 지정될 만큼 위험하다는 점이다.

2021년 환경보건 조사에서 한국인의 혈중 PFAS 농도는 미국인의 3배에 달했다. 실제로 낙동강 인근 방류수와 대구·부산 수돗물에서도 PFAS가 반복적으로 검출됐다. 이미 국민은 광범위하게 노출되어 있는 셈이다.

해외에서는 이미 다각도로 대응을 강화하는 추세이다. 미국 환경보호청(EPA)2023PFOA·PFOS 기준치를 각각 4 ng/L(4ppt)로 대폭 낮췄다. 유럽연합(EU)2026년부터 PFAS 총합 100 ng/L 이하로 규제한다. 일본과 캐나다도 이미 2026년 시행을 앞두고 있다.

반면 한국은 2028년에야 수질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현재 기준은 2018년 미국 권고치를 따라 만든 70ppt(현 미국 기준의 17.5) 수준으로, 최신 과학 기준과는 거리가 멀다. 그나마도 감시 항목일 뿐 실제 규제가 아니다.

더 큰 문제는 배출 기준·정화 기준·폐기물 관리 기준이 전무하다는 점이다. 공장 폐수, 하수처리장 방류수, 산업 폐기물 등 PFAS의 주요 배출 경로에 대한 규제가 없어 오염 확산을 막을 장치가 없다.

이에 <소비자주권시민회의>18일 보도자료를 통해 4대강 PFAS 농도 연례 공개 수질 기준과 배출 기준 동시 마련 오염 지역 정화·복원 체계 구축 등을 정부에 긴급 촉구했다.

한편 PFAS는 과학자들이 한 번 노출되면 몸에서 빠져나가기까지 5년 이상 걸리는 물질이라고 경고하는 화학물질이다. 국민이 이미 노출되고 있는 상황에서 2028년까지 기다리자는 정부의 태도는 사실상 방치에 가깝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