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연구원, 건설투자 감소 영향 분석 및 위기 대응 정책 방향 이끌어 내다

광주연구원, 건설투자 감소 영향 분석 및 위기 대응 정책 방향 이끌어 내다

  • 기자명 이석희 기자
  • 입력 2024.03.12 22:05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2년 대비 건설투자 2.4% 감소할 경우, 광주지역 생산감소 1,455억원 추정
건설투자가 1% 이상 감소하면 광주 GRDP 성장률은 0.54%p 이상 하락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2023년 9월 7일 오후 광산구 진곡산단 옛 그린카진흥원에서 열린 (재)광주연구원 개원식에 참석해 최치국 원장, 정무창 광주시의회 의장, 이정선 광주시교육감 등 내빈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광주광역시 제공]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2023년 9월 7일 오후 광산구 진곡산단 옛 그린카진흥원에서 열린 (재)광주연구원 개원식에 참석해 최치국 원장, 정무창 광주시의회 의장, 이정선 광주시교육감 등 내빈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광주광역시 제공]

[데일리스포츠한국 이석희 기자] 부동산PF 사업의 대규모 부실가능성에 따른 건설경기 위축은 광주경제의 성장 가능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피해 최소화 및 지역건설업 활성화를 위해 공공부문 생활형 SOC 사업 수요 확대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연구원(원장 최치국)은 12일 '광주정책포커스' ‘건설경기 위축으로 인한 광주지역 영향 분석 및 대응 방향’을 발간해, 건설투자가 현 상태에서 1% 이상 감소할 경우, 지역내총생산(GRDP) 성장률은 0.54%p 이상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건설투자 감소가 최대 1,187억원에서 최소 495억원이 감소될 경우를 가정하여 광주에는 최대 1,455억원에서 최소 606억원의 생산 감소, 최대 581억원에서 최소 242억원의 부가가치 감소, 최대 1,339명에서 최소 558명의 취업인원이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2022년 광주지역 건설업 종사자 수는 전산업의 10.9%(광역시 평균 7.3%)를 차지하고 생산액은 GRDP의 4.7%를 차지하고 있다. 전산업 대비 2022년 광주 건설업과 부동산업 사업체수는 각각 16천개(9.4%), 9천개(5.4%)이고, 종사자수는 73천명(10.9%), 25천명(3.7%)이며, 지역내총생산은 2.1조원(4.7%), 3.9조원(8.7%) 수준이다.

저성장 국면과 고금리 장기화 등 부정적 거시경제 상황으로 건설경기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광주지역 건설경기는 건설공사비 증가, 주택시장 구매심리 위축, 건설수요 감소 등으로 당분간 부진이 지속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한 2022년 기준 광주지역 기업부채 중 건설업과 부동산업의 부채 비중은 각각 20.2%, 46.0%로 광역시 평균(건설업 8.8%, 부동산업 30.3%)을 크게 상회하고 있는 실정이다.

광주연구원 한경록 선임연구위원은 건설경기 위축 상황에 대응하고 지역건설업의 활성화를 위해 ▲공공부문 생활형 SOC 사업 수요 확대, ▲대·중소 건설업체 동반성장 기회 창출, ▲데이터 기반 건설정보관리를 통한 건설행정 고도화, ▲광주 건설산업 발전 정책포럼 출범, ▲미래 패러다임 변화에 적극 대응 등 정책 방향을 제언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