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지상 강좌] 詩마을 창작학교

[글쓰기 지상 강좌] 詩마을 창작학교

  • 기자명 유종화 기자
  • 입력 2020.01.08 09:53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는 꼭 아름다운 꽃이어야만 하는가

[데일리스포츠한국 유종화 기자] 문학소녀와 시인의 차이 2

오늘 하루 무사히 살았구나, 휴우

하루의 피곤함과 외로움과 어려움을

저마다 얼굴에 어둡게 짊어지고

옹기종기 오랜만에 둘러앉은 식구들

아이들은 하루하루 커갈수록

어른들은 하루하루 늙어갈수록

말 못할 저마다의 번민은 구름처럼 피어나

날이 갈수록 웃음과 말이 적적해지는구나

서로 사이 무너지는 빈 정적을 염치없이 비집고 들어와

폭군처럼 군림하는 저 뻔뻔스런 TV

식구들 어느새 혼을 다 뺏긴 채

넋 없이 뼈 없이

고린내 나는 발만이 둘러앉아

입인지 코인지 분간 못하고

꾸역꾸역 처넣은 저녁식사

쓰디쓴 세상살이

마음 한번 확 터놓고 웃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위협적으로 웃음을 강요하는 저 저질 TV프로에

울을 수도 웃을 수도 없어

입술들만 가면처럼 씰룩거리는데

가슴속은 더욱더 황량해질 뿐이어서

더욱 더 가난하고 슬퍼지는

우리들의 저녁 밥상

-‘저녁 밥상’ 전문

바로 이 모습이 우리들의 현실이 아니라고 부인하지는 못할 것이다. 다만 그러는지조차 깨닫지 못하고 살아가고 있을 뿐이다. 이처럼 시는 우리의 생활 속에 있다.

이 시에서 양정자 시인은 우리들의 가장 보편적인 생활모습을 그려 주고 있지만, 그 속에 흐르는 감정은 오손도손 모여 앉아서 정담을 주고받는 가정을 강렬하게 원하고 있음을 느끼게 해준다.

생활과 그 생활이 불러일으킨 사상과 감정

이런 시를 읽는 독자들이 ‘어, 그래! 이게 바로 우리의 모습이었어’ ‘그래서는 안 되는데…’ 하고 공감을 할 때, 시는 시의 몫을 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가 그러한 몫을 하기 위해서는 생활과 그 생활이 불러일으킨 감정에서 시작되었을 때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그 여자 희고 고운 손가락에서

무심히 반짝이는

다이아몬드 반지에는 그 시부모님의

박제된 고통이 숨겨져 있다

고향이 전라도 깊은 산골이라던가

군인이요, 돈도 벌지 못하는

그녀의 약혼자가 해주었다는

그 빛나는 다이아몬드 반지에는

아, 보인다

쩍쩍 갈라터진 논바닥 같은

그 시골 부모님들의 손발이

오랜 가난과 인고에 찌들은

칡뿌리 같은 얼굴

피와 땀과 짜디짠 눈물이

-‘약혼반지’ 전문

시인은 일상의 삶 속에서 세상을 볼 줄 알아야 한다. 위에 인용한 시에서처럼 무심코 그러려니 생각하고들 있는 일 속에서

‘쩍쩍 갈라터진 논바닥 같은 그 시골 부모님들의 손발’을 볼 수 있어야 한다. 그게 바로 시이고, 그걸 볼 수 있는 사람이 바로 시인이다. 이렇듯 시는 ‘멀리 있는 무지개’가 아니고 ‘생활과 그 생활이 불러일으킨 사상과 감정’이다. <계속>

데일리스포츠한국 2020년 1월 8일자
데일리스포츠한국 2020년 1월 8일자
저작권자 © 데일리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