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의 관풍(觀風)> 한·중·일 김치, 포기할 수 없는 제2의 전쟁 기다리고 있다

<김성의 관풍(觀風)> 한·중·일 김치, 포기할 수 없는 제2의 전쟁 기다리고 있다

  • 기자명 김성
  • 입력 2020.12.10 11:31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마다 11 ~ 12월이 되면 가정에서 가장 큰 일은 겨울에 먹을 김치를 미리 장만하는 ‘김장 행사’다. 그만큼 김치는 한국인에게는 절대 없어서는 안될 음식이었다. 김장 행사 자체도 가족 화합의 날이자 왁자지껄한 축제이자 이웃 간 나눔의 정(情)이 가득 담겨있는 값진 문화이다. 

김장은 ‘맛’ 이상의 ‘공동체-나눔 정신’ 담고 있어

남자들은 배추를 나르고 소금에 절이는 일과 항아리를 묻을 땅을 파는 일을 도왔고, 여자들은 갖가지 야채와 젓갈로 소를 만들고 적당히 소금간이 된 배추에 버무렀다. 김장의 마지막 과정이자 하이라이트는 하루종일 고생했던 남녀가 함께 모여 잘 삶은 돼지고기를 김장김치 잎에 싸먹으며 막걸리 한 사발을 들이키는 것이었다. 잘 버무린 김치를 한 양푼씩 담아 이웃과 나누는 것도 즐거움이었다. 올해는 코로나19 때문에 찾아보기 어렵게 됐지만 이런 공동체 정신이 발전하여 ‘사랑나눔 김장 축제’를 열고 김치를 독거노인과 결손 가정에 나누는 기쁨도 함께 누리고 있다. 아쉽게도 오늘날 아파트 생활이 보편화되고, 장독대 대신 김치냉장고가 등장하면서 이런 전통이 점차 사라지고 있어 안타깝다. 
김치는 ‘식탁 위의 백신’이라고 불린다. 김치에 들어있는 40여종의 유산균들이 발효과정에 유기산, 비타민B, 비타민C까지 생산해내는 완전식품이다. 발효 초기에는 시원한 맛을, 중기에는 면역개선과 비만예방을, 후기에는 신맛을 만들고 장을 튼튼하게 해준다. 이밖에 항노화, 항암 등의 기능과 아토피 피부염 예방, 겨울철 영·유아 설사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특히 김치에서 분리한 특정 유산균이 바이러스 억제 효능이 있음이 입증돼 코로나19에도 예방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면서 국제적으로 수요가 급중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여러 분야에서 국제적 인증도 받았다. 미국의 건강 전문지 ‘헬스’는 2006년 김치가 “항암과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며 ‘세계 5大 건강식’으로 선정했고, 2013년에는 유네스코가 김치와 김장문화를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했다. 미국 워싱턴 포스트지(WP)는 2012년 버지니아주 센터빌에서 열린 ‘광주세계김치문화축제’를 소개하면서 “김치는 값싼 건강보험”이라고 했고, NYT는 2013년과 2015년에 김치가 ‘한국의 소울 푸드’라고 했다. 우리나라도 김치가 다양한 재료 하나 하나가 모여 22가지 효능을 발휘한다는 의미로 11월 22일을 ‘김치의 날’로 정하고 올해 첫 기념식을 가졌다. 김치의 종주국임을 만방에 선포한 것이었다.

김치의 명성 ‘식탁 위의 백신’ ‘값싼 건강보험’

그런데 찬물을 끼얹는 일이 생겼다.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올해 중국식 절임 야채인 파오차이(泡菜)를 산업표준으로 정하자 중국의 환구시보(環球時報)가 지난 10월 28일 이를 국제적으로 김치 표준이 되었다고 보도한 것이다. 또 한국에서 중국산 김치를 수입하는 현황을 보도하면서 ‘한국 언론 폭발 - 파오차이 종주국 굴욕’이라고 제목을 달아 한국의 자존심을 건들었다. 그러자 영국의 BBC가 “중국의 파오차이와 다른데 오보를 냈다”며 한국편을 들었다. 2001년에도 한국의 김치와 일본의 ‘기무치’가 종주국 경쟁을 벌인 일이 있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식량농업기구(FAO)가 공동운영하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코덱스)가 한국의 ‘kimchi’를 식품표준으로 정하면서 일본의 기무치를 눌렀었다. 고춧가루, 젓갈, 마늘, 생강, 파 등 다섯가지 이상의 양념에 버무려서 발효 숙성한 음식은 김치가 유일해 국제식품표준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그러나 전 세계에는 절임 음식이나 발효 음식이 수없이 많아 확실한 경쟁력을 갖지 않으면 또다시 종주국 논쟁에 휩쓸릴 가능성이 크다. 

‘면역력 증진 효능’ 인증받자 새 김치 개발 경쟁 치열

특히 김치가 바이러스 면역력 증진 식품으로 각광을 받으면서 한·중·일 간에는 이를 놓고 결코 포기할 수 없는 김치전쟁이 재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중국은 이미 한국의 식품기준에 맞춘 김치를 국내 시세의 1/4 이하 저렴한 가격으로 한국에 수출하고 있다. 일본은 한국과 중국의 고추, 유산균은 물론 비타민까지 분석하여 노·장·청이 선호하는 김치를 세분화하여 생산하면서 한국 시장을 넘보고 있다. 우리는 2010년 이후 김치 수입초과국이라는 불명예를 안아오다가 올해 영화 ‘기생충’과 BTS의 인기덕분에 국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런 형편이니 한국은 더욱 서둘러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한다. 
첫째, 김치의 과학화다. 이제는 ‘손맛’만으론 부족하다. 매운 맛과 짠맛을 각각 세분화하여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숙성을 조절하는 한국산 종균도 보급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음식의 개발이다. 우리 김치 가운데서도 피클이나 파오차이와 유사한 백김치 등이 여러 가지 있다. 이련 백김치류도 파오차이 표준에 맞춰 다양하게 개발하여 중국의 소비를 늘려야 한다. 셋째, 김치에 스토리텔링을 입혀야 한다. 각 지역의 김치를 ‘향토음식’으로만 취급할 일이 아니라 여기에 이야기를 입혀 ‘문화상품’으로 격상시켜 부가가치를 높여야 한다. 넷째, 다른 한식이나 김치 소재를 함께 소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김치 자체 뿐만 아니라 불고기+김치, 부침개+김치, 김치볶음밥, 김치찌개, 김치전 같은 연계음식 노출빈도를 높여야 한다. 또 천일염, 김치 소, 해남 배추, 청양고추, 청각, 액젓, 김치를 담아두는 옹기까지 한국의 전통을 다양하게 소개해 김치 효능에 대한 신뢰를 높여야 한다.

‘과학화’‘스토리텔링’으로 짝퉁 김치 제압해야  
다섯째,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겉은 김치종주국이지만 속으로는 ‘김치수입국’인 치욕을 벗어나려면 종합시스템이 필요하다. 광주광역시에는 국가기관인 세계김치연구소와 전국 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김치타운이 있으며 광주세계김치축제를 27회째 개최해 오고 있다. 그러나 상품개발이나 시장판매 담당 기구는 다른 지역에 있다. 이제는 거점을 두어 전국의 각 지역 고유의 김치들을 연구 보존하면서 연구-상품화-판매가 일관되게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 또 분권화와 지역활성화도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 제 2의 한·중·일 김치전쟁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김성(지역활성화연구소장)

저작권자 © 데일리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