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건 시인의 섬과 등대여행] 통영시 한산면 홍도등대

[박상건 시인의 섬과 등대여행] 통영시 한산면 홍도등대

  • 기자명 박상건 섬문화연구소장
  • 입력 2020.08.11 08:04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돌아오지 않는 등대지기를 기다리며…갈매기 울음소리만 가득찬 홍도

[박상건 섬문화연구소장] 남해안 명소 가운데 ‘홍도’라는 섬은 2개가 있다.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도의 홍도와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홍도다. 전남의 홍도는 ‘붉을 홍’의 홍도(紅島)인데 해안선 바위가 온통 붉다. 경남의 홍도는 ‘큰 기러기 홍’의 홍도(鴻島)다.

홍도등대 전경
홍도등대 전경

경남 홍도는 갈매기 알이 많아서 ‘알섬’, 갈매기가 많아 ‘갈매기 섬’으로도 불린다. 홍도는 ‘큰 기러기 섬’이라는 뜻이다. 홍도는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산 54번지에 있는 무인등대섬이다. 해양수산부가 ‘이달의 무인도’로 선정하기도 했다.

홍도는 통영에서 남동쪽으로 50km, 거제도에서 남쪽으로 21km 떨어져 있다. 매물도에서는 18.5km에 떨어져 있다. 섬 면적은 178,781㎡, 남북 길이는 1.58km, 동서 길이는 0.61km. 최고봉은 해발 300m. 홍도는 우리나라 영해 기준이 되는 영해기점 섬이다. 일본과 가장 가까운 섬으로 대마도와 47㎞ 떨어져 있다. 맑은 날에는 육안으로 대마도가 보인다.

홍도등대 옛 숙소터
홍도등대 옛 숙소터

홍도는 백악기 안산암질 쇄설암, 응회암이 덮여있는 성층화산체다. 섬 모양은 코끼리 형상으로 풍화작용으로 조각처럼 깎인 바위섬(sea stack)이 5개 있다. 해안선에는 해식동과 70도 이상 깎인 해식애가 신비롭기만 하다. 북쪽해안은 해식동 높이가 15m, 깊이 8m에 이른다. 수심은 65m로 깊은 편이고 망망대해에서 몰아치는 파도가 매우 거세다. 동쪽 해안은 너비 80m, 깊이 30m로 비교적 큰 만인데 물이 꽉 차고 검푸르다.

홍도는 섬 이름처럼 갈매기들의 세상이다. 천적이 거의 없고 먹이도 풍부해 국내 최대 괭이갈매기 번식지다. 괭이갈매기는 해안이나 도서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텃새인데 암초와 풀밭에서 집단으로 번식한다. 괭이갈매기 알은 엷은 회갈색과 청록색에 짙은 갈색, 잿빛 반점이 있다. 알은 2~4개씩 낳는다. 다른 갈매기와 다른 점은 새끼의 복부가 흰색이고 꼬리를 가로지르는 검은 띠가 있다.

장승포등대
장승포등대

괭이갈매기는 봄에 홍도에서 알을 낳고 이를 품어 새끼를 부화한다. 홍도를 오가는 어부들은 고기 때가 몰려든 어장을 알려주는 갈매기와 상부상조하며 지낸다. 특히 어부들은 부화한 새끼 갈매기가 성장하여 섬을 떠나기 전까지는 뱃고동소리조차 크게 울리지 않는다.

홍도등대는 1994년까지 등대원이 상주했지만 지금은 무인등대다. 홍도는 서이말에서 26km 떨어져 있는데 1996년부터 서이말등대 등대원들이 원격 조정하며 관리한다. 서이말등대 사무실에서 실시간 모니터 화면을 보니 등탑에 카메라가 부착돼 있고 등대 주변과 선착장까지 화면에 등장한다. 360도 회전하는 것은 아니어서 홍도 전체를 체크할 수는 없다. 화면의 등대에는 괭이갈매기들의 비상과 울음소리뿐이다.

서이말등대에서 홍도등대 모니터링 영상화면
서이말등대에서 홍도등대 모니터링 영상화면

문제는 갈매기와 해풍 등으로 인해 등대가 고장 났을 때 즉각적인 조치가 어렵다는 점이다. 등대가 멈춰서면 밤바다를 항해하는 선박의 해난사고를 불가피하다. 나아가 한반도 주변 강대국들은 한줌 흙이라도 더 움켜쥐려고 영토분쟁이 한창이다. 우리는 왜, 천혜의 이 섬을 비워두는 것일까? 1868년 명치유신정권 시절 일본인 78명은 울릉도에 밀입국해 살림벌채를 일삼고 독도까지 넘나들었다. 소위 정한론의 시작이다. 울릉도, 독도 등 공도정책의 폐해였다. 역사는 반복된다. 전진하지 못한 역사는 패배한다.

홍도는 살아있는 천연 해양박물관이다. 다양한 야생식물 특히 선인장 군락지 등 난대성 식물원을 방불케 한다. 둥근바위솔, 낚시돌풀 등 남해안에서 흔하지 않는 식물들도 자란다. 선착장이 위치한 서쪽해안에는 30m 높이 해식동 6개소가 잘 발달돼 있다. 해식동 1개는 양쪽 해안으로 해식동이 관통해 신비한 터널을 만들어 놓고 있기도 하다. 85종의 해조류와 55종의 해안무척추동물도 서식한다.

등대로 올라가는 계단에는 50m 높이까지 풍화작용과 해식작용으로 풍화혈(風化穴)이 벌집처럼 조각된 풍경이다. 섬은 암벽으로 이뤄졌는데 해발 고도 105.5m 지점에 등대가 서있다. 급경사인데 가장자리에는 부식토가 약간 섞였지만 무기물로 구성된 토양층은 없다. 식생분포가 어렵다는 것은 사람이 생활하기가 극히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라남도 칠발도등대가 이런 환경이다. 이런 등대 근무지를 1등급으로 분류한다.

홍도등대 선착장
홍도등대 선착장

선착장에서 등대로 가는 길 끝자락에 등대와 대피소, 태양열 발전시설, 물탱크가 등대직원과 호흡했던 흔적으로 남아있다. 홍도등대는 1904년 인천 팔미도등대, 1년 후 설치된 태안 옹도등대에 이어 세 번째로 세워진 우리나라 근대식 등대다. 남해안 동부해상 최남단에 위치해 망망대해 밤바다를 비춘다. 안개가 짙은 날에는 무적신호로 소리를 울리면서 선박들의 안전한 항해를 돕는다. 우리나라에서 태평양으로 출항하는 선박은 모두 홍도등대를 이정표로 삼는다.

‘조선총독부관보’ 1910년 11월 4일자에는 “조선 남안 경상남도의 남방 홍도에 좌기 등대를 건설함. 본년 11월 1일 이후 점화하되, 단 재래의 등간은 동일을 기하여 철거함.”이라고 홍도등대를 기록했다. 일본은 러일전쟁을 준비하는 과정부터 홍도를 전략적 섬으로 삼았다.

“등간은 러일전쟁 당시 일본 해군에서 건조했으며 첫 점화는 1906년 3월, 등간은 목조의 백색이며 등질은 부동의 백색”이라고 기록했다. 임시 목조로 등대를 세워 전쟁을 대비했다. 일본은 그렇게 대륙으로 가는 길목인 우리나라 섬마다 등대를 설치해 침략의 교두보로 활용했다.

섬문화연구소 주최 국도 촛불 시낭송 장면
섬문화연구소 주최 국도 촛불 시낭송 장면

홍도등대는 그런 아픈 역사를 보듬은 근대문화유산이다. 홍도는 괭이갈매기 서식처로 천연기념물 335호이고 멸종위기 매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희귀식물이 분포하는 식생과 해양문화가 어우러진 섬이다.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특정도서로 지정된 귀중한 생태 섬이다.

해마다 일본은 독도타령으로 우리 국민의 현기증을 유발하고 중국 또한 이어도타령도 모자라 독도 상공을 비행한다. 죽도타령과 동북공정 틈바구니에서 우리 영토 영해의 섬 가치와 중요성을 말로만 강조한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

이제는 철두철미한 전략적 장기적인 섬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 국가공무원인 등대원이 거주하는 섬으로써 실효적 지배를 강화하면서 글러벌 해양강국 일원으로 어선과 화물선, 여객선의 평화로운 운항을 진두지휘하는 일은 우리의 경쟁력이고, 그런 역사를 기록해나가는 일은 해양민족의 후예로서 지상명제이고 사명이며 해양강국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홍도등대는 한려수도 해상국립공원 해역에 위치해 해금강, 외도, 국도, 장승포, 지심도 등과 연계 여행이 가능하다. 거제 장승포유람선 터미널에서 유람선을 이용하거나 낚싯배를 이용해 홍도를 돌아볼 수 있다. 유람선 해상관광 코스는 왕복 3시간 소요된다. 문의: 통영시 한산면 주민센터(055-650-3600)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 소장)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 소장)
저작권자 © 데일리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