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건 시인의 섬과 등대여행] <72> 옹진군 자월도

[박상건 시인의 섬과 등대여행] <72> 옹진군 자월도

  • 기자명 박상건 기자
  • 입력 2020.01.21 15:06
  • 수정 2020.01.21 15:10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을에 취하고 달빛에 취하고, 바위섬 전설이 출렁이는 섬

[데일리스포츠한국 박상건 기자] 인천 연안부두에서 남서쪽으로 54km 거리에 자월도가 있다. 자월도는 옹진군 자월면 소재지 섬인데 자월도 본섬에는 2020년 1월 현재 698명이 주민이 산다. 자월도 지형은 낮은 구릉지가 바다로 길게 뻗어가는 모양새다. 고려 때 공민왕 후손이 이태조의 탄압을 피해 이 섬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보름달이 유난히 아름다워 자줏빛 달이란 뜻에서 자월도라고 부른다.

자월도 노을
자월도 노을

특히 국사봉 줄기를 타고 내려가는 마을은 참으로 평화롭고 천혜의 어촌 풍경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울창한 숲이 해안으로 뻗어 내린 국사봉은 청소년 학습장과 가족단위 야영장이기도 하다. 국사봉에서는 인천, 덕적도, 대・소이작도, 승봉도 등 푸른 섬과 바다를 조망할 수 있다.

국사봉 아래 마을 장골은 조선 초기에 100여 가구가 살던 큰 마을이었다. 한 달에 여러 번 장이 섰다고 해서 생긴 이름이다. 산중턱에는 아직도 옛날 달구지가 다니던 길과 물물거래 하던 흔적이 또렷이 남아 있다.

국사봉을 중심으로 한 트레킹 코스는 경사와 고개가 많아 산악자전거를 이용하며 걷는 것이 좋다. 경사가 많은 만큼 3시간 이상 소요된다. 산악자전거가 아니라면 고갯길 보다는 해안과 마을길을 따라 천천히 달리며 바다 풍경을 감상해도 좋다.

자월도 목선
자월도 목선

걷기는 자월도 달바위 선착장→장골해수욕장→큰말해수욕장→사슴개 해변→볕남금 해변에서 돌아 나와 사슴개 삼거리→마바위 방면→약수터→가늠골 언덕 사거리→큰말→장골해수욕장→선착장 구간이 1코스다. 2코스는 달바위 선착장→고사리골→하늬포→어류골→윷골 구간이다.

자월도는 전통 농촌과 어촌 풍경을 동시에 담고 있다. 해안 경사가 완만하고 해변마다 해산물이 풍부하다. 전국에서 몇 안 되는 약용누에 재배농가가 있고 토종꿀, 흑염소, 포도 등을 특산품으로 생산한다.

풀모골은 대장장이들이 농기구와 쇠붙이를 풀무질하던 곳이다. 큰 마을 초등학교 쪽에는 연자방아를 6개소나 설치하고 방아로 보리 찧던 터가 있다. 달보는재는 정월 보름날에 달맞이하며 소원을 빌던 곳이다.

자월도 포구
자월도 포구

여객선이 오고가는 선착장에 달바위가 있다. 옛날부터 배가 달 수 있는 바위라고 해서 그리 불렀다는 설과 실제 ‘다슬바위’가 있는데 그 발음이 변해서 달바위로 되었다는 설도 있다. 또 이곳 바위가 둥글어 마치 달과 같다고 해서 그리 불렀다는 설들이 있다.

자월도는 해안지대를 낀 지형 때문에 유난히 바위와 관련된 지명이 많다. 안독바위는 장골해변과 큰 마을 사이 해안의 바위다. 사리 때 물이 휘어 도는 곳으로 바위모양이 안쪽 독과 같다하여 불리는 이름. 독바위는 안독바위 밖에 있어 큰 독과 같다하여 불리는 이름이다.

장골소공원도 볼거리 중 하나인데 조경이 참 아름답다. 사계절 야생화들이 만발하고 해당화 집단 서식처이다. 장골해변은 아카시아나무가 병풍처럼 퍼져 있다. 아카시아의 진한 꽃향기가 갯바람에 출렁이는 늦봄에서 여름까지는 산림의 향기와 툭 트인 바다의 풍경으로 절경을 이루는 곳이다.

나무 향기에 취했다가 파도소리를 들으며 걷는 해변에 서면 절벽 틈 사이로 암반수가 흘러내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천연수를 받아 마시며 갈증을 풀고 자연의 여유로움에 취한 사색의 바다에서 여행자는 자기와 대화를 나누다, 자연과 이야기를 이어가다가, 다시 갯가를 찾았다. 바닷물이 빠지자 갯벌에서 조개, 낙지, 게 등을 잡는 재미에 빠졌다. 그렇게 자월도 홀로여행을 즐겼다.

자월도 열녀상
자월도 열녀상

자월도는 조수 간만의 차가 커서 해수욕장에 물이 빠지면 해산물을 쉽게 잡을 수 있다. 망둥어 등 갯벌생물들은 갯벌 위에서 먹이를 찾지만 물이 말라갈 때쯤에는 모래나 갯벌 속으로 들어가 버린다. 생생한 해양체험을 위해서는 해양생물 생태계에 대해 사전에 알고 가면 여행의 맛을 더해준다.

특히 게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농게는 수컷의 집게 다리 가운데 어느 하나는 매우 크고 붉은 색이다. 밤게는 포피가 담갈색 원형의 딱딱한 딱지를 갖고 있다. 5~6월경이면 물이 빠진 뒤 짝짓기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보통 게는 옆으로 기는데 이 게는 앞뒤로 기어간다. 몸 뒤부터 모래 속으로 들어가는 신기한 모습을 볼 수 있다. 흔히 왕새우와 착각하기도 하는 쏙은 모래 갯벌에 Y자 모양의 깊은 구멍을 파고 살며 부유물질을 먹고 산다.

조개나 게를 잡을 수 있는 호미, 모종삽, 맛소금, 면장갑, 외상약과 반창고 등을 준비하는 게 좋다. 섬 안에서는 마을버스와 민박에서 흔히 말하는 봉고를 운행하는데 물때와 배 시간을 숙지한 후 여행일정을 관리하는 게 필요하다.

자월도에는 해수욕장이 몇 군데 있다. 큰말해수욕장은 800m에 이르는 해변인데 온통 금빛모래로 펼쳐져 있다. 해조음에 귀 기울이다 보면 어느새 노을이 스러지며 그 아름다운 황홀경에 젖어든다. 여행자는 여유와 넉넉한 공간에 모든 것을 맡기도 그 평화로운 풍경화 속의 한 점이 된다. 그리고 파도가 스러지는 그 찰나의 갯바람에 나래를 파닥이며 포물선을 그어 올라가는 갈매기들의 향연도 노을 풍경화 속의 빼놓을 수 없는 소재다. 자원도 노을 풍경은 다른 서해에서 보기 드문 색깔로 이국적인 파노라마를 연출한다.

자월도 무인등대
자월도 무인등대

선창 앞에 있는 등대가 노을에 빠져 드는 장면을 보고 감탄하는 사이에 마을 어르신은 저 곳이 낚시 포인트이기도 하다고 일러줬다. 자월도에서는 5월~10월 우럭, 9월~10월은 농어와 망둥어, 6월~9월은 놀래미가 잘 잡힌다고. 이밖에 광어, 장어, 도다리, 숭어, 장대, 돌돔이 많이 잡힌단다. 강태공들이 주로 찾는 시기는 5월~11월 중순경이다.

선창가에는 열녀바위가 있다. 바다가 나가 3일 동안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던 여인이 이곳에 남편 없는 삶은 희망이 없다면서 통곡하며 바다에 몸을 던졌다는 이야기가 주물로 만든 열녀상에 구구절절 아로새겨져 있다.

마지막으로 먹통도 등대를 가려 했으나 인천으로 나가는 막배 뱃고동이 길게 울렸다. 먹통도는 자월도 서북쪽 끝의 무인도로써 옛날 목수들이 먹줄을 치는 먹통 같은 모양새라 해서 그리 불렀단다. 무인등대가 있고 갈매기들이 서식하는 그 무인도에 대한 동경까지, 자월도는 바다 빛깔도 자연풍경도 이색적인 섬으로 늘 서해의 그리워지는 섬으로 남아 있다. 문의: 자월면사무소(032-899-3406)

글・사진: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 소장)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 소장)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 소장)
저작권자 © 데일리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