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영양정보 DB 표준화… 내년 2월 개방

식품영양정보 DB 표준화… 내년 2월 개방

  • 기자명 김준수 기자
  • 입력 2021.09.05 16:59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각 부처별로 달랐던 항목·표기방식 통합

[데일리스포츠한국 김준수 기자] 정부가 식품영양정보 표준화와 활용방안 마련을 위해 산업체·학계·연구기관과 협력한다. 이들은 ‘식품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범정부 민관협의체’를 구성하고, 국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식품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도(농진청)
식품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도(농진청)

민관협의체는 ‘식품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에 따라 구성됐다. 이들은 최근 제1차 협의회를 비대면 영상회의로 개최, 표준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식품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그동안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침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 각 부처마다 따로 생성해왔다. 그 결과 항목, 표기 방식 등이 일부 달라 공공·민간 분야에서 활용 시 추가 가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민관협의체는 각 부처의 식품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을 토대로 현장의 요구사항 등을 수렴, 범부처 식품영양정보 표준안을 마련하고 현장 적합성 등을 검토하기로 결정한 것. 해당 표준안은 식품 및 영양소 표준 명칭, 표준코드, 표준 관리 항목별 정의서 등으로 구성됐다.

정부는 2022년 2월까지 식품영양정보를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에 따라 가공·처리할 방침이다. 국민이라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오픈 API 형태로 제공한다는 것.

더불어 각 부처는 식품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매년 통합 공개하는 식품품목과 영양정보를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식약처는 가공식품의 영양정보 조사대상을 확대하고, 조리식품의 영양성분 분석항목을 기존 80개에서 108개로 확대한다. 농진청은 변화하는 소비 경향을 반영, 농산물 포함 식품의 영양성분 분석 정보를 확대한다.

해수부는 전통수산식품의 영양정보 조사대상을 확대해 수산식품 통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한다. 이어 표준수산물성분표에 수록되지 않은 영양성분을 67개에서 130개 항목으로 확대, 더욱 다양한 영양정보를 제공한다.

교육부는 각 부처에서 제공하는 최신 식품 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각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오는 2023년 개통되는 ‘4세대 교육행정정보시스템 학교급식 시스템’과 연계할 예정이다.

이번 민관협의회를 계기로 식품영양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표준화하면 공공부문은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생산 및 수집할 수 있다. 민간부문의 경우 이를 편리하게 결합,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학교 급식 시스템,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와 연계하는 등 공공·민간분야 활용 사례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관계자는 “식품영양정보를 수요자 관점에서 지속 발굴, 국민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푸드테크·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등으로 새로운 부가가치가 창출될 수 있는 산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라고 밝혔다.

민관협의체에 참여한 민간위원들 역시 “식품영양정보를 생산·활용해 식생활 관련 이슈의 실질적 대책과 해결방안을 찾아내면, 정부 정책 개선에도 도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저작권자 © 데일리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