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지상 강좌] 詩마을 창작학교

[글쓰기 지상 강좌] 詩마을 창작학교

  • 기자명 유종화 기자
  • 입력 2020.02.26 09:53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단 네 줄로 짚어낸 한 나라의 민중사

[데일리스포츠한국 유종화 기자] 우연한 현상 속에 담긴 놀랄 만한 진리-2

시인은 우연한 듯한 현상 속에서 소스라치게 놀랄 만한 진리가 담겨 있는 것을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우연한 현상을 통해 진리가 드러났던 방식대로 시가 쓰일 때 작게 시작해서 크게 끝나야 한다.

‘감꽃’은 그러한 느낌의 순차성이 잘 나타난 보기 드문 좋은 시다. 느낌의 순차성이란 ‘형상적 사유’라고도 말하는데, 기왕 얘기가 나온 김에 ‘감꽃’을 통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이것은 시를 쓰는 사람이 알아야 할 가장 기본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생활 속에서 받은 느낌의 순서에 맞게 그려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바둑에도 수준이 있듯이 이 시에서도 서술 순서가 있습니다. 다음의 시는 그것이 대단히 잘 지켜진 경우입니다.

㉠ 어릴 적엔 떨어지는 감꽃을 셌지

㉡ 전쟁통엔 죽은 병사들의 머리를 세고

㉢ 지금은 엄지에 침 발라 돈을 세지

㉣ 그런데 먼 훗날엔 무엇을 셀까 몰라

㉠㉡㉢㉣의 순서가 조금만 어긋나도 형상이 일그러져 실체를 알아보기 힘들게 됩니다.

이미 ㉣에서 할 말을 얻어 낸 상태에서 시를 쓰더라도 조급하게 ㉣에서 시작하지 않고 ㉠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그 순서는 생활 속에서 느낌이 전해 오는 순서입니다. “순이가 등 뒤에서 툭툭 쳐서 돌아다봤다”라고 하는 문장은 이러한 순서가 틀려 있는 문장입니다. 등 뒤에서 툭툭 쳤을 때는 그 사람이 누구인지 모르는 것이 상태입니다. 이 문장은 “누군가 등 뒤에서 툭툭 쳐서 돌아다보니 순이였다”로 고쳐야 옳습니다.

현실이란 복잡하게 얽혀 있으면서도 뒤죽박죽 무질서한 것이 아니라 대단히 정연한 질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시는 이 점까지를 옳게 반영해야 합니다.

-김형수, ‘자주적 문예운동’에서

이렇듯 생활의 논리에 맞게 서술해 간 시를 따라 읽을 때 그 감동의 폭도 점점 더 커지게 마련이다.

‘감꽃’에 대한 노래 이야기를 하려다가 어느덧 시 쓰는 법까지 흘러와 버렸는데, 내심 그것을 노린 바도 없지 않다. 시를 쓰는 법을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좋은 시를 찾아 읽는 것이기 때문이다.

시는 ‘아침마다 쓸어내는 방 먼지에’ 있다

김준태 시인은 시를 쓴다고 깝죽거리는 사람들에게 일침을 가하는 시 한 편을 써 놓는 것을 잊지 않았다. 그가 시를 어디에서 찾는지 보자.

어디 멋들어지게 둔갑시킬 싯귀는 없나 하고

초조히 서두르는 앙큼한 놈아

네놈이 노려야 할 혁신적이고 어쩌고 하는 시는

네놈이 걷어차버린 애인에게 있고

밤중에 떨어진 꽃잎 밑에 있고

이장네 집에서 통닭을 삼키는 면서기의 혓바닥에 있고

어금니로 질근질근 보리밥을 씹어대는

시골 할머니의 흠 없는 마음속에 있고

전봉준이가 육자배기를 부르며 돌아오던

진달래꽃 산 굽이에 희부옇게 있고

네놈의 뒤통수에 패인 흉터에 있고

아침마다 쓸어내는 방 먼지에 있을 것이다

-‘詩作을 그렇게 하면 되나’ 중에서.  <계속>

데일리스포츠한국 2020년 2월 26일자
데일리스포츠한국 2020년 2월 26일자
저작권자 © 데일리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